요즘 ChatGPT 반응을 보면
625 때 난리는 난리도 아니다.
[핑거이슈] 구글의 시대는 끝났다? 과제 대신 해주는 AI '챗지피티' 열풍
오늘, 즐거움, 직장, 퇴사. 이 단어들로 소설을 써달라고 입력했더니 단숨에 한 편의 소설을 완성하는 ChatGPT. 요즘 뉴스를 보다보면 ‘ChatGPT(챗지
www.ikbc.co.kr
그러는 와중에 스테이블 디퓨전은 이제
Depth 이미지도 뽑아준다고 한다.
GitHub - thygate/stable-diffusion-webui-depthmap-script: High Resolution Depth Maps for Stable Diffusion WebUI
High Resolution Depth Maps for Stable Diffusion WebUI - GitHub - thygate/stable-diffusion-webui-depthmap-script: High Resolution Depth Maps for Stable Diffusion WebUI
github.com
기술의 발전 속도가 신기하기도 해서
요즘 AI 관련 기사를 자주 검색해보게 된다.
그러다가 따끈따끈한 기사를 보게 되었는데,
[단독] 하이퍼클로바·GPT·카톡 합쳤다… 뤼튼, AI 챗봇 출시
단독 하이퍼클로바·GPT·카톡 합쳤다 뤼튼, AI 챗봇 출시 카톡으로 글 써주는 챗 뤼튼 공개
biz.chosun.com
뭔가 엄청난 녀석인 것 같다.
AskUp처럼 채널을 추가하면 사용해 볼 수 있다고 한다.
그래서 카톡을 들어갔다.
혹시나 채널 추가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 있다면
모바일 기준으로
홈 화면에서 돋보기 모양을 누른다.
그 다음에 "뤼튼"을 검색하고 추가해주면 된다.
사실 뤼튼은 처음 들어봤는데
뤼튼, 억대 연봉 내걸고 '프롬프트 엔지니어' 공개 채용 - AI타임스
인공지능(AI) 콘텐츠 생성 전문 뤼튼테크놀로지스(대표 이세영)는 최대 1억원의 연봉을 내걸고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\' 프롬프트 엔지니어\'를 공개 채용한다고 15일 밝혔다.프롬프트 엔지니
www.aitimes.com
AI에 진심인 기업인 것 같았다.
어쨌든 뤼튼을 처음 들어가서 인사를 하면
늦은 시간인데도 반갑게 맞이해준다.
( 처음 추가한 시간이 00:48분)
우선 궁금한걸 물어보았다.
너무 간단히 설명해 준 것 같아서
좀 더 요구해보았다.
뭔가 질문과 답변이 오고갔는데
뒤에 질문에 대한 답변의 처음 부분이 뭔가 어색한 느낌이 들었다.
그러다가 답변 중 감성 문석이 어떤건지 궁금해서 물어봤더니
우선 답변이 나뉘었고,
첫 답변은 앞서 물어봤던 OpenAi의 사용 유무였다.
답변 작성 중 보낸 질문이 아니였는데...
음.. 그렇구나 하던 도중에
여러 메뉴들이 있어서 봤더니
GPT-4가 있다. 지능 옆에 따봉도 붙어있다.
작성일 기준 GPT-4는 유료로만 사용 가능하다.
궁금해서 눌러는 보았는데,
이후 답변에서 적용된지는 모르겠다.
바로 블로그를 눌러보았다.
블로그 글을 날먹하고싶긴 한데,
그래서 눌러본 것은 아니다.
뤼튼 - AI 콘텐츠 생성 플랫폼
뤼튼 - AI 콘텐츠 생성 플랫폼 | 고객의 반응을 얻고 매출을 늘리는 경쟁력 있는 카피, 강력한 AI와 함께 10배 빠르게 완성하세요.
wrtn.ai
뤼튼의 경우 사이트 내에서
광고 문구, 이메일, 블로그 등 여러가지를 만들 수 있다고 설명 되어 있다.
리뷰들도 많이 보여서
블로그 글을 써달라고 시도해보기로 했다.
우선 사용 가이드 먼저 보자면
기사에 나온 것처럼 GPT3.5와 GPT4, 클로바를 활용했다 한다.
그 중 블로그 포스팅과 카피라이팅은 클로바 모델을 활용해
"더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구사합니다!" 라고 한다.
하루 100회 무료라고 해서
100회의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해졌다.
( 사용 가이드, GPT4, 블로그 같이 메뉴로 빠진 것은 제외 되는 것인가 궁금했다. )
그래서 100회의 측정 기준을 물어보았다.
휴먼블로그체의 운동에 관한 블로그 글이 나왔다.
뭔가 많이 안어울린다.
그래서 좀 더 명확히 질문을 해보았다.
일단 기사에도 "무료로 공개하게 됐다."라고 한다.
사용 가이드 같은 메뉴들의 답변은
미리 입력해둔 값을 출력해주는 것 같은데
수정이 안되었는지, 아니면 100회 제한인지 모르겠다.
블로그 글 날먹을 시도하기 위해
최근 직장 동료들과 자주 대화하는 주제로
블로그 글을 요청해보았다.
우선 세 문단으로 나뉘어져있다.
받은 답변에 대한 느낌은
전문가가 쓴 것 같다.
였다.
다음으로는
다이어트에 관한 내용을 블로그 글로 써달라고 요청해봤다.
문체를 보고 놀랐다.
첫번째 질문의 경우
과학, 사회, 기술을 다루는 영역이기에 보다 전문적으로 보일 수 있는
"다"나"까"로 끝난다.
두번째 질문의 경우
다이어트에 관한 블로그 글인데...
다이어트에 관한 글들은 광고가 많은가보다.
어쨌든 두 질문 모두 독자층을 고려한 문체로 작성 되었다고 생각된다.
이 글에서 사용된 뤼튼 챗봇의 답변은 Wrtn Technologies에서 제공한 것입니다.
'AI > AI 잡다한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hatGPT] ChatGPT 질문, 답변 자동 번역기 (0) | 2023.03.28 |
---|---|
[ChatGPT] 이제 챗지피티 안씀 (0) | 2023.03.23 |
[ChatGPT] RPG게임 경험치 표 얻기 (0) | 2023.03.22 |
[다다음] 다다음(ddmm) 베타 버전 리뷰 (0) | 2023.03.20 |
[ChatGPT] Skynet (챗GPT 스카이넷 모델) (0) | 2023.03.16 |
댓글